카테고리 없음

토탈칼슘, 혈청칼슘, 정의, 정상수치, 높으면, 낮으면, 증상, 치료

새바람이부는그날새벽에그순간을즐기는이박사 2025. 2. 19. 23:40
반응형

토탈 칼슘(Total Calcium)과 혈청 칼슘(Serum Calcium)이란?

혈청 칼슘(Serum Calcium)은 혈액 내에서 순환하는 칼슘의 농도를 의미하며, 일반적으로 토탈 칼슘 검사와 함께 측정된다.



칼슘은 신체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.
• 뼈와 치아 형성 (99%가 뼈와 치아에 저장됨)
• 신경 신호 전달 및 근육 수축 조절
• 혈액 응고 및 세포 기능 유지

혈청 칼슘 검사는 신체의 칼슘 균형, 부갑상선 기능, 비타민 D 상태, 신장 및 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.

혈청 칼슘 검사 방법

1. 검사 목적

혈청 칼슘 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된다.
• 뼈 건강 평가: 골다공증, 구루병(rickets), 골연화증(osteomalacia)
• 부갑상선 기능 이상: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/저하증
• 신장 및 간 질환 평가
• 영양 상태 및 전해질 불균형 검사

2. 검사 과정
• 채혈: 주로 정맥혈(팔의 정맥)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
• 공복 상태 권장: 음식물 섭취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보통 8~12시간 금식 후 검사 권장
• 결과 해석: 토탈 칼슘과 이온화 칼슘 수치를 함께 평가

3. 검사 결과의 의미

구분 토탈     칼슘 수치 (mg/dL) 이온화 칼슘 수치 (mg/dL)
정상 범위 8.5~10.5              4.5~5.6
저칼슘혈증 8.5 미만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4.5 미만
고칼슘혈증 10.5 초과              5.6 초과

이온화 칼슘은 활성 칼슘으로 생리적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형태이며, 혈중 알부민 농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.

토탈 칼슘이 낮은 원인(저칼슘혈증, Hypocalcemia)

8.5 mg/dL 미만일 때 저칼슘혈증으로 진단된다.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.
1.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: 부갑상선 호르몬(PTH)이 부족하면 칼슘 흡수가 감소함.
2. 비타민 D 결핍: 장에서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 부족으로 인해 칼슘이 낮아질 수 있음.
3. 신부전(만성 콩팥병): 신장에서 칼슘 배출이 증가하거나, 비타민 D 활성화가 저해됨.
4. 저알부민혈증: 혈중 알부민 수치가 낮으면 단백질과 결합된 칼슘이 감소하여 토탈 칼슘이 낮게 측정될 수 있음.
5. 급성 췌장염: 지방산과 결합하여 칼슘이 감소할 수 있음.
6. 마그네슘 결핍: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가 저하됨.
7. 항경련제, 이뇨제 사용: 특정 약물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.

저칼슘혈증 증상
• 근육 경련(테타니, Tetany)
• 손발 저림 및 감각 이상
• 경련 및 경직
• 심한 경우 부정맥, 의식 저하

토탈 칼슘이 높은 원인(고칼슘혈증, Hypercalcemia)

10.5 mg/dL 이상일 때 고칼슘혈증으로 진단된다.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.
1.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: 부갑상선 호르몬(PTH) 과다 분비로 인해 뼈에서 칼슘이 유리됨.
2. 악성 종양(암): 폐암, 유방암, 다발성 골수종 등에서 칼슘이 증가할 수 있음.
3. 비타민 D 과다 섭취: 장에서 칼슘 흡수가 증가하여 혈중 농도가 높아짐.
4. 만성 신질환: 신장에서 칼슘 조절 기능이 저하됨.
5. 뼈의 대사성 질환(파제트병 등): 뼈의 재형성이 증가하여 칼슘이 혈액으로 방출됨.
6. 탈수: 혈액 내 칼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.
7. 이뇨제(Thiazide) 사용: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를 증가시킴.

고칼슘혈증 증상
• 피로감, 무기력
• 식욕 부진, 메스꺼움, 변비
• 신장 결석 및 다뇨(소변량 증가)
• 심한 경우 부정맥, 의식 저하

토탈 칼슘 조절 방법

1. 저칼슘혈증 관리
• 칼슘 보충제(Calcium carbonate, Calcium citrate) 섭취
• 비타민 D 보충제 (칼슘 흡수를 돕기 위해 필요)
• 부갑상선 기능 조절(PTH 주사 치료 등)
• 신부전이 있는 경우 인 조절(고인산혈증을 피하기 위해)

2. 고칼슘혈증 관리
• 수분 섭취 증가(탈수 방지)
• 칼슘 배출을 돕는 이뇨제(Loop diuretics, 예: Furosemide) 사용
• 부갑상선 기능 검사 및 치료
• 비타민 D 과잉 섭취 조절
• 종양이 있는 경우 암 치료 시행

그래서???
• 혈청 칼슘(Serum Calcium) 검사는 혈액 내 칼슘 농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검사로, 신경, 근육, 뼈 건강, 혈액 응고에 필수적이다.
• 토탈 칼슘 정상 범위: 8.5~10.5 mg/dL, 이온화 칼슘 정상 범위: 4.5~5.6 mg/dL
• 저칼슘혈증(8.5 mg/dL 미만): 부갑상선 기능 저하, 비타민 D 결핍, 신부전 등이 원인
• 고칼슘혈증(10.5 mg/dL 초과): 부갑상선 기능 항진, 종양, 비타민 D 과다 등이 원인
• 혈청 칼슘 검사는 정맥혈 검사를 통해 측정되며, 보통 공복 상태(8~12시간 금식 후) 채혈이 권장된다.
•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칼슘 수치를 모니터링하고, 필요 시 식이 조절, 보충제, 약물 치료 등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.

반응형